전체 글 (272) 썸네일형 리스트형 python, pipenv 설치 https://devbull.xyz/python-create-environment/ https://technote.kr/375 https://incomeplus.tistory.com/187 choco install python3 refreshenv 파워쉘 재실행 pip install pipenv pipenv 전역 설치 프로젝트마다 가상 환경 생성하기 위해서 cmd 실행 (파워쉘에서 pipenv 명령어가 되지않는다. 리부팅이 필요한듯) 작업할 프로젝트의 경로에서 pipenv shell vscode도 가상 환경의 파이썬을 인식하게 설정해주어야한다 ctrl + shift + p python select interpreter를 검색하면 파이썬 기본 설치 경로와 가상 환경이 뜬다 여기서 가상 환경으로 바꿔주면 된.. mysql-server 설치 sudo su - root apt install mysql-server systemctl enable mysql # 우분투 재시작시 mysql 자동 재시작 systemctl start mysql # mysql 실행 mysql -u root -p 또는 /usr/bin/mysql -u root -p SELECT User, Host, authentication_string FROM mysql.user; # 사용자 목록 확인 CREATE DATABASE DB이름; # db 생성 CREATE USER '사용자이름'@'localhost' IDENTIFIED BY 'mysql비번'; # 사용자 추가 FLUSH PRIVILEGES; # 커밋 GRANT ALL PRIVILEGES ON DB이름.* to 사용자이름@loc.. 도커 테스트 처음 접속 시, 관리자 계정을 생성하기 위한 화면이 뜬다 get started 서버 구동 테스트를 위해 container 생성 - nginx 버츄얼박스에서 80번 포트 개방, 3306도 개방 접속 확인 /home 디렉토리에 git clone apt install openjdk-11-jdk-headless 으로 jdk를 설치하고, gradle --version 명령어로 gradle 버전이 4번대라면 gradle을 삭제하고 https://codechacha.com/ko/installing-gradle/ 이 주소의 블로그에서 2. 다운로드 및 직접 설치로 7.1.1로 설치 따라하기 gradle build 명령어로 빌드 도커로 해보려했는데, gradle 문제때문에 직접 하였다 스프링 부트 gradle jar 배포 및 빌드 https://dev-coco.tistory.com/68 참고 블로그 cmd, 루트 디렉토리에서 .\gradlew.bat clean build 폴더 삭제 .\gradlew.bat build 빌드 명령어 /build/libs 폴더에서 java -jar [jar name].jar git - main 브랜치 망쳤을 때 해결방법 https://withhamit.tistory.com/70 참고 블로그 git checkout main git reset --hard [메인으로 정할 브랜치 이름] git push -f origin main virtualbox ubuntu에서 docker 설치, ssh 접속 https://linsoo.pe.kr/archives/27037 VirtualBox에 설치한 리눅스에 Putty 접속하기 버추얼박스에 리눅스 테스트용으로 하나 깔았는데 화면이 너무 작다. 스샷은 뭐 이미지를 브라우저에 맞게 늘려서 크게 보일지 모르겠지만 27인치 UHD 해상도 쓰는 상황이라 폰트가 깨알같아서 linsoo.pe.kr 윈도우와 버츄얼박스 간에 복붙이 가능하게 하려했는데, 뭔 지랄을 해도 되지 않아 ssh로 복붙기능을 씀 sudo apt install docker.io https://docs.portainer.io/v/ce-2.11/start/install/server/docker/linux Install Portainer with Docker on Linux - Portainer Docume.. GCP 프리티어 VM 생성하기 https://opencourse.tistory.com/591 https://cloud.google.com/free?hl=ko 인스턴스 생성 후에, putty같은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바로 ssh 연결이 가능하다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sudo fallocate -l 4G /swapfile sudo chmod 600 /swapfile sudo mkswap /swapfile sudo swapon /swapfile sudo nano /etc/fstab 내용 추가 swapfile none swap sw 0 0 ctrl+o 저장 free -m 메모리 상태 확인 포트 방화벽 설정 파일 권한 변경 https://youtu.be/4-17Wq6WNVE?list=PLq8wAnVUcTFU9zLWK-dHWrvTJ0PF8Y0Sf 리눅스(Linux)는 하나의 컴퓨터를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멀티유저 운영체제(OS)이기 때문에 권한 관리가 매우 중요함 Linux에서 루트사용자만 파일의 소유권 및 사용 권한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sudo 명령이나 root 계정으로 로그인 한 후 해야한다. 리눅스파일, 디렉토리 권한 확인하기 ls -l 자세한 내용은 여기 참조 파일 권한 변경( chmod ) u 사용자, g 그룹, o 다른사용자, a 전부에게 권한을 지정 더하기(+)를 사용하여 권한을 추가하고, 빼기(-)를 사용하여 권한을 제거 개별 파일 권한 변경 rwx 를 사용하는 방식 # group에 쓰기 권한 주기 .. 이전 1 2 3 4 5 6 7 ··· 34 다음